윈도우 IIS 서버 설정 후 파일질라 FTP 서버도 설정 해봤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윈도우 자체에 세팅을 할 필요가 없는 파일질라 FTP 서버가 좀 더 간편하네요 ㅎㅎ

설정 진행 중 설명이 없으면 그대로 사진과 똑같이 진행 해주시면 됩니다.

 

 

1.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type=server 접속 후 다운로드 합니다.

 

 

 

2. 인스톨 파일을 실행 시켜 아래 사진과 같이 다운로드를 진행 해주세요

 

 

 

2. 14147 포트는 FTP서버의 서비스 포트가 아닙니다. 파일질라 FTP 서버의 Admin 인터페이스 입니다.

    그러므로 default 값인 14147을 그대로 유지하고 Next합니다. (서비스 포트는 21)

 

 

 

3. Admin 인터페이스 접근 화면입니다. 현재 저희는 local에서 테스트를 하기 때문에  host는 'localhost'로

  port는 위에 설정하신 대로 '14147' , 비밀번호는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 초기 admin 페이지 입니다. FTP 서버에서 어떤 작업, 연결 등을 할 때 해당 콘솔에 로그가 발생하게 됩니다.

 

 

 

5. 이제 FTP 서버에 접근 할 수 있는 계정을 생성/권한 부여를 해야 합니다. 도구창의 Edit->Users 에 들어가주세요

 

 

 

 

 

6. Users에서 Add 합니다. (사진6-2) 처럼 사용자 이름을 입력 하신 후, 그룹은 생성된게 없으니 none을 선택합니다.

  그다음 (사진6-3)처럼 해당 계정에 비밀 번호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우선 비밀번호를 입력 했습니다.

  창을 닫지 말고 아래 7번 항목도 이어서 진행 해주세요.

(사진6-1)
(사진6-2)
(사진6-3)

 

 

 

7. Shared folders 에서 Add 후, FTP서버의 저장소로 사용 할 디렉토리 경로를 입력 해줍니다.(저의 경우 D:\Jun_FTP_dir)

   그리고 해당 디렉토리에 접근 할 수 있는 Users를 선택(위에서 생성한 Jun_FTP)를 입력 후 권한을 부여 해줍니다.

   모든 입력이 완료되면 꼭 'OK'를 눌러서 저장을 해주세요. 아니면 그냥 초기화 되버립니다.

 

 

 

8. 우선 파일질라 FTP 서버가 잘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 하기위해서 cmd 창에서 'ftp localhost'를 입력 해주세요.

   만약 연결이 안 된다면 서버를 재실행 시키시거나 1번 항목부터 다시 진행 해주시면 됩니다.

   연결이 완료되면 admin 인터페이스에 (사진8-2) 처럼 로그가 찍히는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사진8-1)
(사진-8-2)

 

 

 

9. Filezila 가 있으신 분은 생성된 계정 정보로 로그인 해보실 수 있습니다.

   접속 정보 입력 후 빠른 연결을 하시면 '디렉터리 목록 조회 성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가 게임 업계에서 근무하며 접하는 게임 업계 용어입니다.
혹시 다른게 있다면 알려주세요 :-)



ACL(Access Control List) :
 서버에서 트래픽을 선택하여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기능을 
설정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게임 업계에서는 운영팀 or 플랫폼 개발팀에서 접근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ACL을 설정 해줍니다.


알파테스트(Alpha Test) :
 내부테스트란 뜻으로 개발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테스트 입니다(게임 퍼블리싱 이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
  서비스와 서비스를 연동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결 프로그램입니다.
게임 업계에서는 게임포탈과 게임 사이의 로그인, 캐쉬 충전 및 구매 등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베타테스트(Beta Test) :
 정식 서비스 이전에 외부를 대상으로 진행. CBT 와 OBT에 해당됨(게임 퍼블리싱 이전)


CBT(Closed Beta Test) : 
게임 개발사가 테스터들을 모집하여 개발이 완료된 게임을 퍼블리싱 이전에 플레이 하게 한 뒤, 게임의 버그나 개선 및 건의사항등을 보고 받아 한 층 더 완벽해진 게임을 만들기 위해 진행합니다.


CDN(Content Delivery Network) :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곳에 데이터를 저장해두고 사용자들이 빠르게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쉬운 예시를 보이자면,  Steam 이나 Google Player Store 라고 할 수 있습니다.


DB(Data Base) :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곳입니다.(보통 IDC에 구축되어 운영됩니다.)


FFT(Family&Friend Test) :
 친분이 있거나 테스트를 위한 전문적 지식을 가진 소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테스트입니다(게임 퍼블리싱 이전)


GMTool :
 게임 개발사에서 제공한 Tool이며 효과적으로 게임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GM 계정으로 다양한 컨텐츠 및 이벤트를 진행 할 수 있으며,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게임 운영을 위한 지표분석도 할 수 있습니다. 
게임 업계에서는 운영팀에서 다양한 요구분석을 위해 많이 사용합니다.


Game Patch:
 게임 개발사가 게임의 버그 수정 및 신규 기능을 업데이트 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패치입니다.


IDC(Internet Data Center) :
 게임 운영을 위해 다수의 서버PC 와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회선을 제공하는 장소.


IP(Internet Protocol) :
 흔히 IP주소라고 말하며 인터넷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서버로부터 유일한 IP값을 받습니다.
게임 업계에서는 테스트 서버 및 라이브 서버등을 구축할때 IP주소를 할당해야 합니다.
 이 작업은 주로 플랫폼 개발팀에서 진행하게 되며 IP주소는 항상 미리
 할당 및 고지를 해야 합니다.


런쳐(Launcher) :
게임을 실행해주기 위한 .exe 프로그램


모니터링(Monitoring) :
 게임 서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을 하는 작업입니다.
 꼭 서버 뿐만이 아니라 게임 내부에서 비정상적, 비매너 행위에 대한 대응을 위해 모니터링을
하기도 합니다.


OBT(Open Beta Test)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외부 테스트. CBT 보다 차후에 실시되며 게임에 대해
최종적으로 개선사항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

OP(OPeration Team, 운영팀) :
게임 운영을 담당하는 부서입니다.

OTP(One Time Password) :
 비밀번호 재사용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기위해 사용자에게
일회성 비밀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Port : 
서버의 통신 프로그램을 구분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IP+Port 로 접속을 합니다.
 ex) 100.100.100.100:808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