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페이지 개발을 보다 동적으로 하기 위해 제이쿼리를 사용하는데

이때 문서 객체 구조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 '선택자'를 이용합니다.

선택자와 사용법 입니다.



 선택자

사용 예시 

설명 

$("*") 

전체 요소 선택 

 #

$("#id") 

id를 가진 요소 선택

 .

$(".class") 

class를 가진 요소 선택

 다중 #

$("#id1", "#id2") 

id1, id2를 가진 요소 선택 

다중 .

$(".class1", ".class2") 

class1, class2를 가진 요소 선택 

 element

$("p") 

<p> 태그에 해당되는 요소 선택 

$("div") 

<div> 태그에 해당되는 요소 선택 

 $("body")

<body> 태그에 해당되는 요소 선택 

다중 element 

$("p", "div", "body") 

각 태그에 해당되는 요소 선택

:first

$("li:first")

li의 첫번째 요소 선택 

:last

$("li:last")

li의 마지막 요소 선택 

:even

$("li:even")

li의 짝수번째 요소 선택 

:odd

$("li:odd")

li의 홀수번째 요소 선택 

parent()

$("요소").parent() 

선택 요소의 부모 요소 선택 

parents()

$("요소").parents() 

선택 요소의 전체 상위 요소 선택 

:eq(n) 

$("요소:eq(0)") 

요소 자식의 인덱스n 요소 선택 


브라우저 객체(BOM)의 객체인 screen 객체 메소드에 이은,

location객체와 history 객체의 메소드 입니다.



location.href : URL을 설정 및 반환 합니다.

location.host : URL 호스트 이름과 포트 번호를 설정 및 반환합니다.

location.hostname : URL의 호스트 이름을 설정 및 반환합니다.

location.hash : URL의 해쉬값을 설정 및 반환합니다.

location.origin : URL의 프로토콜, 호스트이름, 포트번호를 반환합니다.

location.protocol : URL의 프로토콜을 설정 및 반환합니다.

location.port : URL의 포트 번호를 설정 및 반환합니다.

location.search : URL의 쿼리스트링을 설정 및 반환합니다.

location.reload() : 화면을 새로고침 합니다.(F5와 같은 기능)


history.length : 방문 목록 갯수를 표현합니다.

history.back() : 이전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history.forward() : 존재하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history.go() : 인덱스 값에 맞춰 페이지가 이동 합니다.


navigator.appCodeName : 브라우저 이름을 반환합니다.

navigator.appName : 브라우저 이름을 반환합니다.

navigator.appVersion : 브라우저의 버전 정보를 반환합니다.

navigator.cookieEnabled : 쿠키 사용 여부를 반환합니다.

navigator.geolocation : 유저 접속 위치의 Geolocation 객체를 반환합니다.

navigator.language : 브라우저의 사용 언어를 반환합니다.

navigator.onLine : 온라인 브라우저 인지 확인합니다.

navigator.platform : 운영체제 정보를 반환합니다.

navigator.product : 브라우저 엔진 이름을 반환합니다.

navigator.userAgent : 서버 정보를 반환합니다.

navigator.javaEnabled() : 자바 사용 여부를 확인 합니다.(boolean)



결과 값이 보이는 내용만 테스트 하였습니다.





	console.log(navigator.appCodeName);
	console.log(navigator.appName);
	console.log(navigator.appVersion);
	console.log(navigator.cookieEnabled);
	console.log(navigator.geolocation);
	console.log(navigator.language);
	console.log(navigator.onLine);
	console.log(navigator.platform);
	console.log(navigator.product);
	console.log(navigator.userAgent);
	console.log(navigator.javaEnabled());





실행 결과 :



브라우저 객체(BOM)의 screen 객체 메소드


내용이 많지 않아 코드 내에 주석으로 설명 내체 하였습니다.





	var scr_width = screen.width;			// 화면 너비
	var scr_height = screen.height;			// 화면 높이
	var scr_avaWidth = screen.availWidth;	// 화면 사용 가능 너비
	var scr_avaHeight = screen.availHeight;	// 화면 사용 가능 높이
	var scr_colorDepth = screen.colorDepth;	// 표현 가능 컬러 bit
	var scr_pixelDepth = screen.pixelDepth;	// 표현 가능 픽셀 bit
	
	console.log("화면 너비 : " + scr_width);
	console.log("화면 높이 : " + scr_height);
	console.log("화면 사용 가능 너비 : " + scr_avaWidth);
	console.log("화면 사용 가능 높이 : " + scr_avaHeight);
	console.log("표현 가능 컬러 bit : " + scr_colorDepth);
	console.log("표현 가능 픽셀 bit : " + scr_pixelDepth);




결과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