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tellij Spring 'Could not find or load main class' Caused by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 스프링 부트에서 'Gradle'이 아니 'Maven' 을 사용할 때 발생한 에러 입니다. (Gradle 도 동일할 수 있습니다.)

 

Maven 프로젝트 생성 및 개발 진행 중 특정 시점으로 소스를 롤백이 필요했습니다.

소스 롤백 후 start를 하는데 클래스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 했고, 에러 해결 방법을 찾아 봤습니다.

 

아래와 같이 진행 해주세요.

1.Build 메뉴의 'Build Project' 또는 'Rebuild Project' 를 실행 해주세요.

(인텔리제이는 가끔 클래스를 최신화 하지 않기 때문에, build를 다시 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도커를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하는 순서입니다.

 

1. 도커 설치를 위해 사용중인 PC의 가상화 옵션을 사용으로 바꿔주세요.

* 가상화 : 미사용일 경우 아래와 같이 사용으로 변경 해주세요

 [Windows 하이퍼바이저 플랫폼]과 [가상 머신 플랫폼] 항목을 체크 해주세요.

 

 

 

2. 도커 윈도우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해주세요.

https://hub.docker.com/editions/community/docker-ce-desktop-windows/

 

Docker Desktop for Windows by Docker | Docker Hub

Docker Desktop for Windows Docker Desktop for Windows is Docker designed to run on Windows 10. It is a native Windows application that provides an easy-to-us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building, shipping, and running dockerized apps. Docker Desktop for W

hub.docker.com

 

 

 

3. 다운로드된 설치 파일을 실행 해주세요.

 

 

 

4. 설치된 도커를 실행 해주세요

 

 

 

5. 도커 약관에 동의 해주세요

 

 

 

6. 튜토리얼이 필요하신 분은 'Start'버튼을 눌러 확인 해주시고, 아니신 분은 'Skip tutoral'을 눌러주세요.

 

 

 

7. 도커 설치가 완료됐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The server cannot be started because one or more of the ports are invalid. Open the server editor and correct the invalid ports.'

 

새로운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 및 등록하고 톰캣을 실행하려고 하니 해당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실행시킨 톰캣의 포트가 유효하지 않아 발생된 에러로 아래와 같이 해결해 주시면 됩니다.

 

 

1. 'Server' 탭의 톰캣 더블클릭 

 

 

2. 'Ports'의 'Tomcat admin port' 및 'HTTP/1.1' 포트가 입력 됬는지 확인

 -> 보통 새로 설정 하면 'Tomcat admin port'가 '-' 로 설정되있는 경우가 있어 위의 에러가 발생 합니다.

 

 

 

3. 정상적으로 실행된 톰캣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프링 프로젝트를 진행 하다보면 IDE(이클립스 or STS 등) 을 사용 하는데, 

가끔씩 'Problems opening an editor. Reason: {project name} does not eixist' 에러가 발생 합니다.

2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맞물려 작동하는 계층 구조에서 상위 프로젝트를 import 하지 않았거나, 'Close Project' 된 경우 주로 발생 합니다.

 

1. 프로젝트 Close 여부. 아래 그림은 프로젝트가 closed된 경우입니다.

 

2. 프로젝트가 import 되지 않은 경우. import해주시면 됩니다.

 

3. import 했는데도 안 될때. (Gradle 이나 Maven 의 빌드를 우선 진행 하시고, 그래도 안되면 아래르 따라해주세요)

3-1. 프로젝트 -> 우클릭 -> Project Facets -> Convert to faceted form

 

3-2 . Application 체크 -> Apply and Close

반응형
반응형

OOP의 4대 특성중에는 다형성(Polymorphism)은 같은 자료형이지만 다양한 변수나 메소드를 대입하여 다양한 결과를 얻어내는 능력을 말합니다.

 

오버라이딩(Overriding)

- 상위 클래스에서 선언된 메소드를 하위 클래스에서 재정의 해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자식 클래스에서 선언하는 것(super()) 도 오버라이딩입니다.

- 오버라이딩의 충족 조건(1. 메소드 이름, 2. 메소드 매개 변수의 숫자와 데이터 타입&순서, 3. 메소드 리턴 타입)

 

오버로딩(Overloading)

- 메소드명은 같지만 리턴 타입이나 매개변수에 다르게 해서 여러가지 메소드를 선언 하는 방식입니다.

- 하나의 메소드 이름으로 여러 기능을 구현 할 수 있습니다.

- 매개 변수가 다르거나 리턴 타입이 달라야 합니다. 

- 하지만 리턴 타입이 달라도 매개 변수가 같으면 안됩니다.

 

오버라이딩과 오버로딩의 사용법

- 오버라이딩을 사용 할 때 하위 클래스의 메소드에 @Override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package java_study;

public class Polymorphis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ild_poly cp = new Child_poly();
		cp.overridingHello();
		cp.overloadingMethod();
		cp.overloadingMethod("hey");
		cp.overloadingMethod("yolo", 100);
	}
}

class Parent_poly {
	public void overridingHello() {
		System.out.println("Hello from Parent");
	}
}

class Child_poly extends Parent_poly {
	// @Override
	public void overridingHello() {
		System.out.println("Hello from Child");
	}
	
	public void overloadingMethod() {
		System.out.println("overloading without paremter");
	}
	
	public void overloadingMethod(String str) {
		System.out.println("str : " + str);
	}
	
	public void overloadingMethod(String str, Integer i) {
		System.out.println("str : " + str + " / Integer : " + i);
	}
	
	public Integer overloadingMethod(Integer i) {
		return i;
	}
	
}
반응형
반응형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객체를 프로그램의 기본 단위로써 나누고 그 객체들이 상호 작용 하는 프로그램이라 배웁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객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함께 학습이 필요한 클래스와 인스턴스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클래스(Class)

 - 객체가 정의된 '설계도'

 - 객체를 생성 하기 위해서 클래스가 꼭 필요함

 - 객체의 생성을 위한 용도이지 객체로써 직접 사용 할 수 없음

 

객체(Obejct)

 - 클래스를 이용해 만들어진 객체

 - 모든 인스턴스는 객체에 포함됨

 

인스턴스(Instance)

 - 인스턴스화는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드는 과정임. ex) Unit unit = new Unit():

 - 클래스를 사용해서 만들어진 객체를 '인스턴스 객체'라고 부름

 - 모든 인스턴스는 객체에 포함됨

 

 

아래 코드를 보면 이해를 좀 더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우선 class Unit 에서 다양한 변수 및 메소드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설계도에 작업이라 생각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메인 클래스에서 Unit marine = new Unit()은 클래스를 인스턴스화 하는 부분입니다.

그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있는 부분은 ClassInstanceObject인 객체입니다.


// 큰 의미의 객체와 인스턴스
public class ClassInstanceObjec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클래스를 인스턴스화 하고 있는 부분
		Unit marine = new Unit();
		Unit medic = new Unit();
	}
}

// 클래스 (설계도)
class Unit {
	
}

반응형
반응형

OOP의 4대 특성중에는 상속(Inheritance)이 있습니다. 이는 코드의 재사용과 확장성을 용이하게 해줍니다.

 

상속의 특징

 - 상속 되는 클래스를 부모 클래스 및 Super 클래스라 하고, 그 반대는 자식 클래스 및 Sub 클래스라고 합니다.

 -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에 정의된 변수나 메소드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부모 클래스의 변수나 메소드의 접근 제어자가 private이면 사용 할 수 없습니다. (protected는 자식에게만)

 - 하지만 부모 클래스는 자식 클래스의 변수나 메소드를 사용 할 수 없습니다.

 - 2개 이상의 클래스를 부모 클래스를 상속 받을 수 없습니다. 오직 하나만 상속 받을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모든 클래스는 Object를 상속 받고 있습니다.(extends Object를 굳이 안 해줘도 됨)

 

 

상속의 사용법

 - 자식 클래스명 옆에 extends 키워드와 함께 부모 클래스명을 입력 하시면 됩니다.

main 메소드에서 Unit클래스를 상속받은 marine 인스턴스는 createdUnitMsg()와 createdBionicUnitMsg()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Inheritanc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ionic marine = new Bionic();
		marine.createdUnitMsg();
		marine.createdBionicUnitMsg();
	}
}

class Bionic extends Unit {
	public void createdBionicUnitMsg() {
		System.out.println("created a bionic unit");
	}
}

class Unit {
	public void createdUnitMsg() {
		System.out.println("created an unit");
	}
}
반응형
반응형

버블 정렬은(Bubble Sort) 두 인접한 원소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방법이고 2가지 순서가 있습니다.

1.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 N-1번째 원소와 N번째 원소를 비교 합니다.

2. 1회전이 끝나면 가장 큰 원소가 맨 마지막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다음 회전에서의 마지막은 N-2 원소와 N-1 원소가 됩니다.

 

아래는 위의 순서에 맞게 실행한 예제입니다.

- 배열에 저장되는 값은 [3, 6, 0, 9, 1] 입니다.

Sequence Table Values Result
1 [3, 6, 0, 9, 1]  6<->0 [3, 0, 6, 9, 1]
1 [3, 0, 6, 9, 1] 9<->1 [3, 0, 6, 1, 9]
2 [3, 0, 6, 1, 9] 3<->0 [0, 3, 6, 1, 9]
3 [0, 3, 6, 1, 9] 6<->1 [0, 3, 1, 6, 9]
4 [0, 3, 1, 6, 9] 3<->1 [0, 1, 3, 6, 9]

 

 

 

아래는 선택 정렬을 구현한 자바 예제입니다.

 


package algorithm;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BubbleSor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 3, 6, 0, 9, 1 };
		int[] sorted_a = bubbleSort(a);

		System.out.print(Arrays.toString(a));
	}

	public static int[] bubbleSort(int[] a) {
		int i, j, temp;
		for (i = a.length - 1; i > 0; i--) {
			for (j = 0; j < i; j++) {
				if (a[j] > a[j + 1]) {
					temp = a[j];
					a[j] = a[j + 1];
					a[j + 1] = temp;
				}
			}
		}
		return a;
	}

}

반응형
반응형

선택 정렬(Selection Sort)는 제자리 정렬의 알고리즘이며 3가지 순서가 있습니다.

1. 주어진 배열 값들 중에서 최소값을 찾습니다.

2. 그 최소값을 실행 순서의 값과 교체를 합니다.

3. 그렇게 첫 번째, 두 번째...마지막 -1회 까지 1, 2번 과정을 진행 합니다.

 

아래는 위의 순서에 맞게 실행한 예제입니다.

- 배열에 저장되는 값은 [3, 6, 0, 9, 1] 입니다.

Sequence Table Minimum Value
1 [3, 6, 0, 9, 1] 0
2 [0, 6, 3, 9, 1] 1
3 [0, 1, 3, 9, 6] 6
4 [0, 1, 3, 6, 9] -

 

 

아래는 선택 정렬을 구현한 자바 예제입니다.

package algorithm;

public class SelectionSor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 3, 6, 0, 9, 1 };
		int[] sorted_a = selectionSort(a);
		System.out.print(Arrays.toString(a)
	}

	public static int[] selectionSort(int[] a) {
		int i, j;
		int temp;
		for (i = 0; i <= a.length - 1; i++) {
			for (j = 0; j <= a.length - 1; j++) {
				if (a[i] < a[j]) {
					temp = a[i];
					a[i] = a[j];
					a[j] = temp;
				}
			}
		}
		return a;
	}

}


 

반응형
반응형

Window환경에 PostgreSQL과 pgAdmin을 설치하고 pgAdmin 접근 까지의 예제입니다.

 

 

1. 아래 링크에 들어가 그림1-1의 버전 스펙 표를 참고하여 원하시는 버전을 선택 해주세요.

https://www.enterprisedb.com/downloads/postgres-postgresql-downloads

 

 

PostgreSQL Database Download

Please Note: EDB no longer provides Linux installers for PostgreSQL 11 and later versions, and users are encouraged to use the platform-native packages. Version 10.x and below will be supported until their end of life.

www.enterprisedb.com

 

그림 1-1

 

 

 

2. 설치 파일을 실행 시키시고 그림 2-3과 같이 패키지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을 선택 해주세요.

   저는 pgAdmin 까지 사용을 하기 위해 모두 선택 하고 진행 하겠습니다.

   그림 2-5는 비밀번호를 설정 하는 부분이고 mysql&mariadb 와는 다르게 super user가 root가 아니라

   postgres입니다.

   그림 2-6은 포트를 설정하는 부분인데 다른 DB와는 다르게 3306포트를 하용하지 않고 5432를 사용합니다.

   그림 2-7은 Locale을 설정 하는건데 서버 스펙에 따라 설정 해주세요. 저는 default를 선택 했습니다.

   

그림 2-1
그림 2-2
ㅐ킺그림 2-3
그림 2-4
그림 2-5
그림 2-6
그림 2-7

 

그림 2-8
postg그림 2-9
그림 2-10 

 

 

 

3. 설치가 완료되면 pgAdmin 4를 실행 하시거나 아래 링크로 접근 해주세요.

   로그인 화면에서 super user 계정명과 비밀번호를 입력 하시면 그림 3-2와 같이 생성된 DB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http://127.0.0.1:50835/browser/

 

그림 3-1
그림 3-2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