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프링 프로젝트 사용 중  Could not run phased build action using Gradle distribution '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6.3-bin.zip'  에러가 발생 했습니다.

해당 문제는 gradle 버전이 맞지 않아 생기는 문제이며 C:\Users\{username}\.gradle\wrapper\dists 경로에서

그림 1과 같이 사용하지 않는 버전을 삭제 해주시고, 그림 2와 같이 필요한 버전을 다시 한 번 설정 해주세요.

wrapper를 사용 하시면 첫 번째 방법만 사용 하시면 됩니다.

 

그림 1
그림 2

 

반응형
반응형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jsp 파일에 The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에러가 발생 하였습니다.

프로젝트 runtime을 위해 톰캣을 추가 해주고, Dynamic Web Module, Java, JS 의 버전을 같이 수정 해주세요.

 

* 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 -> Project Facets -> 아래 그림 2-1을 참고 해주세요

 

그림 2-1

반응형
반응형

Spring 프로젝트를 구동하기 위해 톰캣을 추가 하려 할 때 'The name is already in use. Specify a different name.'

에러가 발생 했습니다.

보통 서버를 추가 했다 삭제 했을때 'org.eclipse.wst.server.core' 파일에 반영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workspace}/.metadata/.plugins/org.eclipse.core.runtime/.settings 경로에 접근하여 'org.eclipse.wst.server.core'

파일을 삭제 하거나 아래처럼 삭제 되지 않은 서버를 지워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Origin 서버가 대상 리소스를 위한 현재의 representation을 찾지 못했거나, 그것이 존재하는지를 밝히려 하지 않습니다'

 

잘 돌아가던 서버가 수정도 안 했는데 404에러가 발생하면, 톰캣 서버 Web module 의 path를 수정 해주시면 됩니다.

* 현재 아래 그림의 수정이 완료된 상태입니다. 

아래 그림2-1 처럼 올려야 할 프로젝트를 선택 하고 edit를 눌러주세요. 그리고 필요한 path를 입력 하시면 됩니다.

Spring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시라면 ' / ' 로 하시면 됩니다.

 

ps. 그나저나 저 HTTP 에러 상태 페이지를 영어로 보여지게 할 수 없나요 ㅇ_ㅇ? 

반응형
반응형

VMware에 CentOS 7 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VMware의 설치 과정은 https://gabrielyj.tistory.com/195 일부를 참고 해주시면 됩니다.

 

 

1. CentOS 7 iso 파일을 다운 습니다.  다운로드 링크 -> https://www.centos.org/download/

 그림1-1 과 같은 버전 7 탭에서 필요하신 버전에 맞춰 선택 하세요. 저는 기본적인 x86_64를 선택 했습니다.

 그림1-2 와 같이 다운로드 호스트 서버를 선택 해주세요. 현재 저는 캄보디아에 거주 중이라 다른 국가에서 접속 하시는 분과 다를겁니다. 

 그림 1-3 필요한 ISO 파일을 다운 받으세요.

 

Download

As you download and use CentOS Linux, the CentOS Project invites you to be a part of the community as a contributor. There are many ways to contribute to the project, from documentation, QA, and testing to coding changes for SIGs, providing mirroring or ho

www.centos.org

그림 1-1
그림 1-2
그림 1-3

 

 

 

2. 준비된 VMware에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선택하세요.

 

 

 

3. 두 번째의 installer disc.. 을 사용해도 되나, CentOS의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현상이 많았다고 합니다. 

   설치 진행 중 선택을 하기 위해 세 번쨰의 I will install...을 선택하세요.

 

 

 

 

4. VM으로 설치될 운영체제의 이름과 경로를 설정하세요.

 

 

 

5.  디스크 용량을 할당해주시고 next 눌러주세요.

 

 

 

6. Customize 를 선택 하신 후 그림 6-2처럼 Memory는 2GB로, 그림 6-3처럼 Processor는 2개로,

   그림 6-4 처럼 준비된 CentOS 설치를 위한 이미지 파일을 지정 해주세요.

   최종적으로 그림 6-5처럼 설정 되었는지 확인 해주세요. (원하시는 스펙에 따라 저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림 6-1
그림 6-2
그림 6-3
그림 6-4
그림 6-5

 

 

 

7. Install CnentOS 7을 선택해주세요. 그러면 열심히 설치를 시작합니다.

 

 

 

8. 기본 설치 도중 세부 설정을 위한 GUI 화면이 표시됩니다. 날짜, 소프트웨어 선택, 네트워크를 설정 하세요.

   그림 8-1(언어 선택) 같이 원하시는 언어를 선택 하세요

   그림 8-2-1~2 에 표시된 내용들을 설정 해야 합니다.

   * 소프트웨어 선택은 필요로 하시는 옵션에 맞게 선택 하시면 됩니다. 콘솔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GNOME 데스크탑을 선택 하세요.

   그림 8-3(네트워크 설정)

   * 날짜/시간을 선택하는 화면이 누락 되었네요..ㅠㅠ 

그림 8-1
그림 8-2-1
그림 8-2-2
그림 8-3

 

 

 

9. 설치가 진행 되는 동안 ROOT암호를 설정 해주시면 됩니다. 나중에 비밀번호 변경 과정이 귀찮으니 꼭 기억 하세요!

그림 9-1
그림 9-2

 

 

 

10.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 메세지가 뜹니다. 재부팅을 하시고 위에 설정한 root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CentOS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물론 root외의 사용자는 위의 설치 과정 도중 생성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프링 프로젝트를 구동 시키기 위해 톰캣 서버에 프로젝트를 추가 하려고 하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 했습니다.

'Tomcat version 8.5 only supports J2EE 1.2, 1.3, 1.4, and Java EE 5, 6, and 7 Web modules '

해당 에러는 톰캣, 자바, 웹 모듈 버전 등 서버 관련 버전이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servlet 4.0을 사용하려고 헀는데 톰캣 8.5를 사용 하기 때문에 발생 했습니다.  

 

위의 표를 확인하고 프로젝트 생성 전에 버전을 맞추시거나, Project Facets에서 버전을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VMware Workstation Player에서 Ubuntu를 설치 하려고 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VMware Player를 다운 받습니다. 저는 우선 포스팅을 목적으로 player로 다운 및 진행 하겠습니다.

* Pro와 Player는 유료 무료(비상업적)의 차이가 있으며, Player에 커머션 라이센스를 적용하면 Pro 및 Fusion Pro로

  생성된 가상 머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https://my.vmware.com/en/web/vmware/downloads/info/slug/desktop_end_user_computing/vmware_workstation_player/15_0

 

VMware Maintenance

Content Not Available Dear user, the web content you have requested is not available.

maintenance.vmware.com

 

 

 

1. Next 눌러주세요

 

 

2. 라이센스 정책 동의 후 Next 눌러주세요

 

 

 

3. 'Enhanced Keyboard Driver' 는 키보드 입력에 대해 보안적인 측면을 강화해주는 드라이버 설치 항목입니다.

자세히 아는 내용이 없어 따로 체크하지 않고 진행하겠습니다.

 

 

 

4. 업데이트 내역 / 고객 지원 프로그램 내용 선택 후 Next 눌러주세요

첫 번째 : VMware가 실행될 때 새로운 버전이나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컴포넌트 업데이트를 확인하겠냐는 내용

두 번째 : 수집되는 오류 보고 및 문제 해결 같은 지원을 위해 VMware 고객 지원 프로그램에 등록하겠냐는 내용 

 

 

 

5. 원하는 바로가기 아이콘 위치 확인 후 Next 눌러주세요 

 

 

 

6.Next 눌러주세요 

 

 

 

7. Finish 눌러주세요

 

 

 

8. 설치된 VMware를 실행해주세요

 

 

 

9. 상업적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사용하겠다는 내용을 선택 후 Next 눌러주세요

 

 

 

10. Finish 눌러주세요

 

 

 

11. Pro 라이센스 판매를 위한 광고입니다. Skip this version을 눌러주세요

 

 

 

12. 실행된 VMware 에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선택하세요

 

 

 

13. Ubuntu 다운로드 iso 파일을 지정해줍니다. iso 파일이 준비되어 있으시면 아래처럼 선택하시면 되고,

세부적인 설정을 더 하셔야 된다면 맨 마지막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을 선택하세요

* 파일이 없으신 분은 옆 링크에서 다운로드하으세요 ->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14. 개인 정보 입력 후 Next 눌러주세요. 단, Full name과 User name 은 대문자, 특수문자, 띄어쓰기 모두 안됩니다.

 

 

 

15. VM으로 설치될 운영체제의 이름과 경로를 설정하세요.

 

 

 

16. 디스크 용량을 할당해주시고 next 눌러주세요.

 

 

 

17. 사양 확인 후 Finish 눌러주세요. 혹시 다른 사양으로 생성하시려면 Customize 하시면 됩니다.

 

 

 

18. Ubuntu가 열심히 설치됩니다.

 

 

 

19. 로그인을 해주세요

 

 

 

20. Ubuntu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wget는 웹 서버의 파일을 다운 받기 위해 사용하는 linux 명령어 입니다. 파일 다운로드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우선 아래 명령어를 통해 wget을 설치 해주시고, -h 변수를 이용해 설치가 됬는지 확인 해주세요.(도움말 명령어)

yum install wget
wget -h

 

기본적인 wget명령어 구조입니다. 아래에서 몇 가지 예시를 보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wget [옵션]... [URL]...

 

파일 받기 

wget URL

 

파일 받기(파일명 지정)

wget -0 저장파일명 URL

 

파일 받기(실패 후 재시도 횟수), n=횟수를 의미

wget --tries=n URL

 

다수 파일 받기(로그 남기기)

wget --tries=n URL -o log
wget --tries=n URL --output-file=log

 

이어 받기

wget -c URL
반응형
반응형

(사진1)

Lombok을 사용하기 위해 pom.xml 에 라이브러리를 추가 하면 바로 사용 할 수 있다고 생각 했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위 (사진1)처럼 MemberEntity에서 선언된 bullder()가 정의 되지 않았다는 에러가 발생 했습니다.


Lombok 을 사용하기 위해서 생각보다 단순한 작업만 진행 해주시면 됩니다.

 

 

 

1. 우선 pom.xml에 아래 라이브러리 코드를 추가해주세요.


		
		
		
			org.projectlombok
			lombok
			true
		
		

 

 

 

2. 다운로드 경로에서 설치된 lombok-1.18.12.jar을 더블클릭해서 실행 해주세요.

(만약 클릭해도 압축 해제 창만 뜨면 아래처럼 cmd에서 실행 해주세요)

 

 

 

3. Eclipse를 사용하고 계시면 아래처럼 자동으로 바인딩된 상태로 'Install / Update'를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저는 STS를 사용하고 있으니 'Specify location'에서 STS.exe파일을 추가 해주시면 됩니다.

 

 

 

4. 원하시는 경로의 STS.exe 파일이 추가 됬는지 확인 하시고 'Install/Update'를 클릭하세하시고,

    다음 페이지는 무난하게 넘겨줍니다.

 

 

 

5. 설치 완료 후 STS및 이클립스를 재시작 해주시고 프로젝트 build를 해주세요. 

MemberEntity 클래스에 @Builder와 @Getter등 Lombok의 어노테이션이 정상적으로 작동해 bean등록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 IIS 서버 설정 후 파일질라 FTP 서버도 설정 해봤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윈도우 자체에 세팅을 할 필요가 없는 파일질라 FTP 서버가 좀 더 간편하네요 ㅎㅎ

설정 진행 중 설명이 없으면 그대로 사진과 똑같이 진행 해주시면 됩니다.

 

 

1.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type=server 접속 후 다운로드 합니다.

 

 

 

2. 인스톨 파일을 실행 시켜 아래 사진과 같이 다운로드를 진행 해주세요

 

 

 

2. 14147 포트는 FTP서버의 서비스 포트가 아닙니다. 파일질라 FTP 서버의 Admin 인터페이스 입니다.

    그러므로 default 값인 14147을 그대로 유지하고 Next합니다. (서비스 포트는 21)

 

 

 

3. Admin 인터페이스 접근 화면입니다. 현재 저희는 local에서 테스트를 하기 때문에  host는 'localhost'로

  port는 위에 설정하신 대로 '14147' , 비밀번호는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 초기 admin 페이지 입니다. FTP 서버에서 어떤 작업, 연결 등을 할 때 해당 콘솔에 로그가 발생하게 됩니다.

 

 

 

5. 이제 FTP 서버에 접근 할 수 있는 계정을 생성/권한 부여를 해야 합니다. 도구창의 Edit->Users 에 들어가주세요

 

 

 

 

 

6. Users에서 Add 합니다. (사진6-2) 처럼 사용자 이름을 입력 하신 후, 그룹은 생성된게 없으니 none을 선택합니다.

  그다음 (사진6-3)처럼 해당 계정에 비밀 번호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우선 비밀번호를 입력 했습니다.

  창을 닫지 말고 아래 7번 항목도 이어서 진행 해주세요.

(사진6-1)
(사진6-2)
(사진6-3)

 

 

 

7. Shared folders 에서 Add 후, FTP서버의 저장소로 사용 할 디렉토리 경로를 입력 해줍니다.(저의 경우 D:\Jun_FTP_dir)

   그리고 해당 디렉토리에 접근 할 수 있는 Users를 선택(위에서 생성한 Jun_FTP)를 입력 후 권한을 부여 해줍니다.

   모든 입력이 완료되면 꼭 'OK'를 눌러서 저장을 해주세요. 아니면 그냥 초기화 되버립니다.

 

 

 

8. 우선 파일질라 FTP 서버가 잘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 하기위해서 cmd 창에서 'ftp localhost'를 입력 해주세요.

   만약 연결이 안 된다면 서버를 재실행 시키시거나 1번 항목부터 다시 진행 해주시면 됩니다.

   연결이 완료되면 admin 인터페이스에 (사진8-2) 처럼 로그가 찍히는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사진8-1)
(사진-8-2)

 

 

 

9. Filezila 가 있으신 분은 생성된 계정 정보로 로그인 해보실 수 있습니다.

   접속 정보 입력 후 빠른 연결을 하시면 '디렉터리 목록 조회 성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