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FO: Error parsing HTTP request header Note: further occurrences of HTTP header parsing errors will be logged at DEBUG level.

해당 에러 발생시 tomcat 의 server.xml 파일에서 해당 리스너를 추가 후 재시작 해주시면 됩니다.

 

*리눅스 환경에서는 

/tomcat/conf 경로에 있습니다.

 

<Listener className="org.apache.catalina.core.AprLifecycleListener" SSLEngine="on"/>

 

 

<Listener className="org.apache.catalina.core.AprLifecycleListener" SSLEngine="on"/>

 

반응형
반응형

스프링부트는 스프링 프로젝트와 다르게, 동적 파일들의 refresh를 자동으로 반영 하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브라우저 캐쉬 문제가 있는줄 알고 개발자 모드로 실행했고, 캐쉬를 삭제하고도 실행 해봤습니다.

그렇게저는 F5를 키를 계속 누르고 있었죠ㅠㅠ

해당 부분은 pom.xml 에 아래 부분을 추가 해주시면 재시작 없이 refresh 할 수 있습니다.

 

 

pom.xml 과 application.properties에 각 소스 코드를 입력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clean 및 서버를 재시작 하시면 jps파일을 서버 재시작 없이 바로 refresh할 수 있습니다 !

 

pom.xml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devtools
		

 

 

application.properties

spring.devtools.liverload.enabled : true
반응형
반응형

매번 실무에서는 만들어져 있던 프로젝트를 import/pull 해서 사용 하다보니,

초기 프로젝트 세팅(프로젝트 생성 및 깃 저장소 연결) 을 직접 해본적이 없었습니다.

스터디를 위해 프로젝트를 만들다가 삽질을 하도 많이해서 시간낭비를 또 하지 않기 위해 블로그에 정리 합니다.

상세한 설명보다는 절차적으로 이미지로 표현 하였습니다.

 

 

 

1.  https://github.com 접속 및 회원 가입.

 

2. 'Start a Porject' 버튼 클릭 후 그림(2-1) 처럼 작성

그림(2-1)

 

 

 

3. 생성된 깃 저장소 링크 확인. (5번 항목에서 사용 됨)

 

 

 

 

4-1. STS 및 이클립스 실행 -> Window -> Show View -> Other... 선택 (그림 4-1)

4-2. Git Repositories 선택 (그림 4-2)

그림(4-1)
그림(4-2)

 

 

 

5-1. Git Repositories 항목 -> Clone a git repository 선택 (그림 5-1)

 - 항목이 없으면 Window -> Show View -> Other... 에서 검색

5-2 Location.Url 항목에 3번에서 생성된 Git Url 복사 및 붙여넣기 (그림 5-2)

5-3 next (그림 5-3)

5-4 Git 저장소를 선택 후 Finish (그림 5-4)

 

그림(5-1)
그림(5-2)
그림(5-3)
그림(5-4)

 

 

 

6. Git Repositories 항목에서 추가된 저장소를 확인 (그림 6-1)

그림(6-1)

 

 

 

 

7-1.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그림 7-1)

   New -> Spring Boot -> Spring Starter Project

7-2 설정 하고 싶은 정보 입력 (그림 7-2)

7-3 기본 설정을 위한 Spring Web 선택 (그림 7-3)

7-4 Finish (그림 7-4)

그림(7-1)
그림(7-2)

 

그림(7-3)

 

그림(7-4)

 

 

 

8. 생성된 프로젝트 확인

 - unknown 에러 발생시 해당 링크 참조 https://gabrielyj.tistory.com/178

그림(8-1)

 

 

 

9-1. 프로젝트 우클릭 -> Team -> Share Project (그림 9-1)

9-2. 부모 디렉토르 확인 후 Finish 

 

그림(9-1)
그림(9-2)

 

 

 

 

10. Git 저장소와 연동된 프로젝트를 확인. '프로젝트 이름[깃 저장소 이름]'

 

 

11-1. 프로젝트 파일 깃 저장소로 Commit 하기 위해서 , Unstaged Changes 파일들을 Staged Changes 로 보내기

        파일 선택 -> 우클릭 -> Add  to index (그림 11-1)

11-2 Staged Changed 된 파일 확인 (그림 11-2)

11-3 Commit message 작성 (그림 11-3)

11-4 커밋 작업 후 깃 저장소로 Push (그림 11-4)

11-5 마스터 브랜치 확인 후 머지 및 Finish 확인

11-6 최종 메세지 확인 후 종료

그림(11-1)
그림(11-2)
그림(11-3)
그림(11-4)
그림(11-5)
그림(11-6)

 

 

 

12. Github 홈페이지에서 커밋 내용 확인 (그림 12-1)과 (그림 12-2) 처럼 최근 커밋 내용이 출력

그림(12-1)
그림(12-2)

반응형
반응형

이클립스 환경에서 Git 저장소를 Clone 하려고 하는데, 'cannot open git-upload-pack'에러가 발생 했습니다.

해당 에러는 SSL 보안 증명 방식을 false 해줌으로써 쉽게 해결 할 수 있습니다.

 

1. Window -> Preferences -> Team -> Git -> Configuration (그림1)

2. Key : http.sslVerify / Value : false (그림2)

3. 등록 확인 후 Apply / Ok 클릭 하시면 됩니다.

 

(그림1)
(그림2)
(그림3)

 

 

 

 

 

반응형
반응형

스프링 프로젝트를 처음 생성 했는데, unknown 에러가 발생하여 난감하신 분들이 많다고 생각됩니다.

아래 그림(1-1), 그림(1-2) 같은 에러가 발생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포스팅 합니다.

 

해당 문제는 막 생성된 maven을 생성 할 수 있게 pom.xml 에 등록을 해주시면 쉽게 해결 됩니다.

 

 

그림(1-1)
그림(1-2)

 

 

 

1.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apache.maven.plugins/maven-jar-plugin 

   해당 URL에서 사용 하고 싶으신 플러그인 버전을 선택 해주세요.

 

Maven Repository: org.apache.maven.plugins » maven-jar-plugin

Builds a Java Archive (JAR) file from the compiled project classes and resources. VersionRepositoryUsagesDate3.1.x3.1.2Central 0 May, 20193.1.1Central1Dec, 20183.1.0Central5Apr, 20183.0.x3.0.2Central10Jun, 20163.0.1Central 0 Jun, 20163.0.0Central 0 May, 20

mvnrepository.com

 

 

 

2. pom.xml 의 <properties>에 아래와 같이 추가 해주고, 해당 jar파일이 다운로드 될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3.1.1
		1.8
	

위에 글이 깨지시는 분은 아래 텍스트를 추가 해주세요 !

<properties>  <maven-jar-plugin.version>3.1.1</maven-jar-plugin.version> </properties>

 

 

 

3. 우선 pom.xml 에 에러가 해결된것을 확인 하실 수 있지만, 여전히 프로젝트 아이콘에는 에러 표시가 존재 합니다.

그림(3-1)

 

 

4. 'Problems' 항목에서 해당 에러를 확인 후, 그림2, 3과 같이 우클릭 -> 'Quick Fix' -> 'Finish' 버튼을 눌러주세요. 

(못 찾으시면, 상단 Window -> Show View -> Problems 를 선택 해주세요)

그림(4-1)
그림(4-2)
그림(4-3)

 

 

 

5. 해당 과정을 완료 하시면 그림(5-1) 같이 모든 에러가 해결 됬음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림(5-1)

 

반응형
반응형

1분에 많게는 수백번씩 호출되는 API에 불가피하게 로그를 찍어야 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그랬더니 쌓이는 로그의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더라구요...

그래서 문제 해결 하기 전에는 수동으로 로그 파일의 내용을 삭제하며 불필요한 용량 확보에 대비해야겠습니다.

 

로그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까지 이동한 다음 아래 명령어를 입력 해주세요.

 

cat /dev/null > 파일명

 

그럼 아래 그림처럼 파일은 유지 되지만, 내용만 삭제되어 처음부터 로그를 다시 쌓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분에 많게는 수백번씩 호출되는 API에 불가피하게 로그를 찍어야 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그랬더니 쌓이는 로그의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더라구요...

그래서 문제 해결 하기 전에는 수동으로 로그 파일의 내용을 삭제하며 불필요한 용량 확보에 대비해야겠습니다.

 

로그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까지 이동한 다음 아래 명령어를 입력 해주세요.

 

cat /dev/null > 파일명

 

그럼 아래 그림처럼 파일은 유지 되지만, 내용만 삭제되어 처음부터 로그를 다시 쌓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저는 윈도우를 사용해서 맥북이나 사파리에 상당히 약합니다..

이번에 회사에서 새로 오픈하는 홈페이지에서 사파리 웹에서 문제가 생겨 확인이 필요했는데, 개발자 콘솔 하나 

켜는데 애먹었네요...ㅎㅎ

 

그냥  사파리에서

1. Ctrl + ',' 입력시 '고급'설정 창이 열립니다.

2. 메뉴의 '고급'->하단의 '메뉴 막대에서 개발자용 메뉴 보기' 선택

3. Alt 를 누르면 상단에 메뉴바가 표시되고 개발자용을 메뉴에서 콘솔을 열어주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 스프링을 훨씬 더 깊게 공부하기 위해, 제 마음속 스프링의 신 백기선님의 강의를 듣기 시작 했습니다.

백기선님은 강의 진행에 IntelliJ 를 사용하시는데, 저는 굳이(?) 이클립스를 이용해서 진행 하고 싶었습니다.

분명...인텔리제이가 어려워 이클립스를 사용하실 분이 계시다는 생각으로... 도움이 되고자 포스팅 합니다.

 

 

 

1. 우선 이클립스 상단 메뉴의 File->New->Others에서 SCM을 검색 하신다음, 아래 항목을 선택 해주세요.

 

 

 

 

2. SCM URL 항목에서 git을 선택 하신다음, git repository URI를 입력 하고 Finish 눌러주세요.

 

 

 

 

3. 위에 과정을 거치면 빌드를 위해 Maven이 열심히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처음 이 과정을 거치시는 분은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4. 빌드가 완료되서 프로젝트가 완성 되면 좋겠지만... 제가 직장 동료의 피씨와 제 노트북으로도 테스트 해본 결과

   공통된 에러가 발생 했습니다.

Multiple annotations found at this line:  - Execution default-testResources of goal    org.apache.maven.plugins:maven-resources-plugin:   3.1.0:testResources failed: Plugin    org.apache.maven.plugins:maven-resources-plugin:3.1.0 or one    of its dependencies could not be resolved: Failure to transfer    com.google.code.findbugs:jsr305:jar:2.0.1 from https://   repo.maven.apache.org/maven2 was cached in the local    repository, resolution will not be reattempted until the update    interval of central has elapsed or updates are forced. Original    error: Could not transfer artifact    com.google.code.findbugs:jsr305:jar:2.0.1 from/to central    (https://repo.maven.apache.org/maven2): The operation was    cancelled. (org.apache.maven.plugins:maven-resources-plugin:   3.1.0:testResources:default-testResources:process-test-resources)

해당 에러는 maven-resources-plugin 이 없어 빌드가 진행되지 않아서 발생 합니다. 해당 플러그인의 dependency를

pom.xml 에 등록하면 에러 사라집니다. 아래 URI에서 원하시는 버전을 선택 하시고,

아래 소스 코드를 pom.xml dependencies에 등록 해주시면 됩니다.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apache.maven.plugins/maven-resources-plugin

		

    org.apache.maven.plugins
    maven-resources-plugin
    3.1.0

 

 

 

5. pom.xml 저장 후 프로젝트 우클릭->Run As->Maven Install 을 실행 해주세요. 

  그러면 프로그램이 열심히 돌기 시작합니다.

 

 

 

 

 

6. 빌드가 종료되면, 프로젝트 우클릭 -> Run As -> Spinrg Boot App 을 실행 해주세요.

   그림(2)와 같이 서버가 실행 됩니다.

  

그림(1)

 

그림(2)

 

 

 

7. 웹 브라우저에 localhost:포트번호(8080) 을 입력 하시면 시작된 고대하던 petclinic 페이지가 접속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프링 프로젝트와 연동을 하기 위해 MariaDB를 설치 하려고 합니다.

아래 링크에서 들어가고, 원하는 버전을 선택해주세요. 저는 Window x86_64버전을 다운 받았습니다.

https://downloads.mariadb.org/mariadb/10.3.15/

 

MariaDB 10.3.15 Stable - MariaDB

 

downloads.mariadb.org

 

 

 

설치가 완료 후 cmd창에서 설치된 MariaDB 디렉토리에 접근합니다. 그리고 'mysql --version'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설치된 MariaDB 버전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 'mysql -u root -p' 를 입력 하시면 password를 입력 할 수 있고, 원하시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비밀번호가 root 계정의 비밀번호로 초기화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